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어 360 2017 및 기어VR 2017를 구입하고
간단하게 개봉기 및 사용기를 각각 올렸었다.

삼성 기어 360(2017) 및 기어VR(2017) 도착!!!!!!!


삼성 기어 360 2017 (SM-R210) 개봉기(unboxing)!


기어 360 2017 (SM-R210) 작동법 및 사용 후기




여행에서 실제 360 카메라를 사용하고 포스팅을 하기 위한 서비스를 이용해 보았다.
그리고 서비스를 각각 사용해보고

360사진 공유 및 포스팅에 사용되는 서비스 사용 THETA360(기어 360 2017) (SM-R210)

360사진 공유 및 포스팅에 사용되는 서비스 사용 플리커 flickr (기어 360 2017) (SM-R210)






나름의 결론을 내려본다.
여기서 결론이란 내가 사용하기로 마음먹은것을 말한다.

일단 두 서비스의 업로드 법을 보면


Theta360의 경우
  1. theta앱을 통해서 무조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포스팅을 한다.
  2. 이후에 theta 에 웹으로 접속하면, 내 앨범에 추가된 사진을 볼수 있다.
  3. 페북에서 공유가 된 사진 또한 theta앱으로 사진을 공유하면, 공개를 한다는것이 전제이므로,
  4. 특별한 설정없이 바로 임베디드 링크를 딸수 있다.


Flickr의 경우
  1. 단계를 여러개 거치지만 auto-uploader를 사용하면 조금 더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다.(사진 자동 백업은 덤)
  2. 업로드된 사진을 새로운 앨범을 만들어서 옮긴다.
  3. 이후 사진별로 공개범위를 바꾸고(비공개 --> 공개)
  4. 웹으로 접속하여 임베디드 링크를 딴다.


단계를 보면 크게 차이는 없는것 같지만

양서비스의 장단점을 보자면

장점
Theta의 경우
업로드든 사진은 웹에서 아무런 설정없이 바로 임베디드 링크를 바로 딸수 있다.

Flick의 경우
Auto-uploader를 사용하면 일단 업로드된 사진을 웹에서 간단한 설정을 통해서 임베디드 링크를 딸 수 있다.
전체 앨범에서 공유하고 싶은 사진으로 앨범을 만들어 놓고 여러개의 링크를 딸 수 있다.


단점
무조건 페북이나 트위터에 포스팅을 한번 해야된다는 점
theta앱이 직관적이지 않다.

Flickr의 경우
개인의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나는 비공개로 사진을 업로드 하고 있어서,
공유를 위해서는 사진별로 설정을 바뀌주어야 한다.
한국의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앱을 설치할 수 없다. apk를 다운받아 설치해야 한다.



각 서비스의 장단점이 있지만,

나는 플리커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유는 theta를 사용할때 매번 페이스북에 사진을 포스팅할 생각이 없고, 포스팅을 하려면 페이스북에 직접 포스팅을 하는것이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플리커의 경우 auto-uploader로 사진이 백업이 되는 장점도 있고, 전체 앨범에서 공유하고 싶은 사진들만 골라서
앨범을 만들고 설정을 바꿔서 포스팅하는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다.
일단 auto-uploader의 사용이 큰 장점이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럼 실제 여행에서 사용해본 기어360 의 사용에 대해서 사진과 함께 포스팅 해보겠다.